가질 만한 가질만한?
한글 맞춤법 제47항에서
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,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.
여기서 말하는 보조 용언은, (1) ‘-아/-어’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, (2) 의존 명사에 ‘-하다’나 ‘-싶다’가 붙어서 된 보조 용언을 가리킨다.
라고 되어 있습니다. 각종 예시가 나오는데 다 보고 해석하기가 어렵네요.
1. '만 한'
집채만 한 파도 -> 명사 '집채' + 조사 '만' + 동사 '하다(한)' + 명사 '파도' 가 결합된 것입니다.
'만 한'은 조사 '만'에 동사 '하다'가 결합한 것입니다.
00만 한 00
2. '만하다'
가질 만하다 -> 동사 '가지다' + 형용사 '만하다' 가 결합된 것입니다.
'만하다'는 '만(의존명사) + -하(파생접사) + 다'로 보조형용사입니다. 앞에 반드시 본용언이 나와야 하는 보조용언이죠.
3. 가질 만하다(0) / 가질만하다(0)
결론을 말하자면 둘 다 가능합니다. 만하다는 보조용언으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는데,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하니깐요.
그렇지만, 띄어 쓰는 게 더 좋겠죠?
그러나 '가질 만 하다'나 '가질만 하다'처럼 쓰면 안 됩니다. '만하다'가 한 세트니깐 '만'과 '하' 사이를 띄우면 안 됩니다.
4. 가질 만 한 것(X) / 가질만 한 것(X) / 가질만한 것(O) / 가질 만한 것(O)
'가지다'가 동사이므로 '만 한'은 '만하다'의 축약으로 봐야 합니다. 그래서 '만'과 '한'은 붙여서 써야 합니다.
이건 저도 헷갈리네요. 위의 '집채만 한 파도'의 사례와 헷갈리네요.
아이고 복잡해라. 블로그 글 쓰다가 '가질 만한'이 나와서 검색하다보니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.
결론은 글쓰다가 헷갈리면 검색해서 찾아 보고 쓰세요. 맞춤법 조금 틀려도 됩니다.
'생활 리뷰 > 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승원 독서법 비밀 영상 리뷰 (8) | 2023.02.05 |
---|---|
법륜스님 즉문즉설(아버지를 원망하는 청년) (3) | 2021.10.13 |
헤르페스 각막염 13년차 (19) | 2021.07.27 |
델타 변이 바이러스 델타 항공? (2) | 2021.07.11 |
오즈의 마법사 줄거리 간단하게 요약 (2) | 2021.07.09 |
내 블로그도 신문사 해도 된대... 댓글에서ㅋㅋㅋ (6) | 2021.07.06 |
인생은 마라톤이다 아니다 - 일본 광고 (5) | 2021.07.05 |
"자세히 보아야 예쁘다" 유퀴즈 나태주 시인 편을 보고 (0) | 2021.06.14 |
댓글